과제 체크포인트
배포 링크
기본과제
상품목록
상품 목록 로딩
- 페이지 접속 시 로딩 상태가 표시된다
- 데이터 로드 완료 후 상품 목록이 렌더링된다
- 로딩 실패 시 에러 상태가 표시된다
- 에러 발생 시 재시도 버튼이 제공된다
상품 목록 조회
- 각 상품의 기본 정보(이미지, 상품명, 가격)가 카드 형태로 표시된다
한 페이지에 보여질 상품 수 선택
- 드롭다운에서 10, 20, 50, 100개 중 선택할 수 있으며 기본 값은 20개 이다.
- 선택 변경 시 즉시 목록에 반영된다
상품 정렬 기능
- 상품을 가격순/인기순으로 오름차순/내림차순 정렬을 할 수 있다.
- 드롭다운을 통해 정렬 기준을 선택할 수 있다
- 정렬 변경 시 즉시 목록에 반영된다
무한 스크롤 페이지네이션
- 페이지 하단 근처 도달 시 다음 페이지 데이터가 자동 로드된다
- 스크롤에 따라 계속해서 새로운 상품들이 목록에 추가된다
- 새 데이터 로드 중일 때 로딩 인디케이터와 스켈레톤 UI가 표시된다
- 홈 페이지에서만 무한 스크롤이 활성화된다
상품을 장바구니에 담기
- 각 상품에 장바구니 추가 버튼이 있다
- 버튼 클릭 시 해당 상품이 장바구니에 추가된다
- 추가 완료 시 사용자에게 알림이 표시된다
상품 검색
- 상품명 기반 검색을 위한 텍스트 입력 필드가 있다
- 검색 버튼 클릭으로 검색이 수행된다
- Enter 키로 검색이 수행된다
- 검색어와 일치하는 상품들만 목록에 표시된다
카테고리 선택
- 사용 가능한 카테고리들을 선택할 수 있는 UI가 제공된다
- 선택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상품들만 표시된다
- 전체 상품 보기로 돌아갈 수 있다
- 2단계 카테고리 구조를 지원한다 (1depth, 2depth)
카테고리 네비게이션
- 현재 선택된 카테고리 경로가 브레드크럼으로 표시된다
- 브레드크럼의 각 단계를 클릭하여 상위 카테고리로 이동할 수 있다
- "전체" > "1depth 카테고리" > "2depth 카테고리" 형태로 표시된다
현재 상품 수 표시
- 현재 조건에서 조회된 총 상품 수가 화면에 표시된다
- 검색이나 필터 적용 시 상품 수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
장바구니
장바구니 모달
- 장바구니 아이콘 클릭 시 모달 형태로 장바구니가 열린다
- X 버튼이나 배경 클릭으로 모달을 닫을 수 있다
- ESC 키로 모달을 닫을 수 있다
- 모달에서 장바구니의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
장바구니 수량 조절
- 각 장바구니 상품의 수량을 증가할 수 있다
- 각 장바구니 상품의 수량을 감소할 수 있다
- 수량 변경 시 총 금액이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다
장바구니 삭제
- 각 상품에 삭제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
- 삭제 버튼 클릭 시 해당 상품이 장바구니에서 제거된다
장바구니 선택 삭제
- 각 상품에 선택을 위한 체크박스가 제공된다
- 선택 삭제 버튼이 있다
- 체크된 상품들만 일괄 삭제된다
장바구니 전체 선택
- 모든 상품을 한 번에 선택할 수 있는 마스터 체크박스가 있다
- 전체 선택 시 모든 상품의 체크박스가 선택된다
- 전체 해제 시 모든 상품의 체크박스가 해제된다
장바구니 비우기
- 장바구니에 있는 모든 상품을 한 번에 삭제할 수 있다
상품 상세
상품 클릭시 상세 페이지 이동
- 상품 목록에서 상품 이미지나 상품 정보 클릭 시 상세 페이지로 이동한다
- URL이
/product/{productId}
형태로 변경된다 - 상품의 자세한 정보가 전용 페이지에서 표시된다
상품 상세 페이지 기능
- 상품 이미지, 설명, 가격 등의 상세 정보가 표시된다
- 전체 화면을 활용한 상세 정보 레이아웃이 제공된다
상품 상세 - 장바구니 담기
- 상품 상세 페이지에서 해당 상품을 장바구니에 추가할 수 있다
- 페이지 내에서 수량을 선택하여 장바구니에 추가할 수 있다
- 수량 증가/감소 버튼이 제공된다
관련 상품 기능
- 상품 상세 페이지에서 관련 상품들이 표시된다
- 같은 카테고리(category2)의 다른 상품들이 관련 상품으로 표시된다
- 관련 상품 클릭 시 해당 상품의 상세 페이지로 이동한다
- 현재 보고 있는 상품은 관련 상품에서 제외된다
상품 상세 페이지 내 네비게이션
- 상품 상세에서 상품 목록으로 돌아가는 버튼이 제공된다
- 브레드크럼을 통해 카테고리별 상품 목록으로 이동할 수 있다
- SPA 방식으로 페이지 간 이동이 부드럽게 처리된다
사용자 피드백 시스템
토스트 메시지
- 장바구니 추가 시 성공 메시지가 토스트로 표시된다
- 장바구니 삭제, 선택 삭제, 전체 삭제 시 알림 메시지가 표시된다
- 토스트는 3초 후 자동으로 사라진다
- 토스트에 닫기 버튼이 제공된다
- 토스트 타입별로 다른 스타일이 적용된다 (success, info, error)
심화과제
SPA 네비게이션 및 URL 관리
페이지 이동
- 어플리케이션 내의 모든 페이지 이동(뒤로가기/앞으로가기를 포함)은 하여 새로고침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.
상품 목록 - URL 쿼리 반영
- 검색어가 URL 쿼리 파라미터에 저장된다
- 카테고리 선택이 URL 쿼리 파라미터에 저장된다
- 상품 옵션이 URL 쿼리 파라미터에 저장된다
- 정렬 조건이 URL 쿼리 파라미터에 저장된다
- 조건 변경 시 URL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된다
- URL을 통해 현재 검색/필터 상태를 공유할 수 있다
상품 목록 - 새로고침 시 상태 유지
- 새로고침 후 URL 쿼리에서 검색어가 복원된다
- 새로고침 후 URL 쿼리에서 카테고리가 복원된다
- 새로고침 후 URL 쿼리에서 옵션 설정이 복원된다
- 새로고침 후 URL 쿼리에서 정렬 조건이 복원된다
- 복원된 조건에 맞는 상품 데이터가 다시 로드된다
장바구니 - 새로고침 시 데이터 유지
- 장바구니 내용이 브라우저에 저장된다
- 새로고침 후에도 이전 장바구니 내용이 유지된다
- 장바구니의 선택 상태도 함께 유지된다
상품 상세 - URL에 ID 반영
- 상품 상세 페이지 이동 시 상품 ID가 URL 경로에 포함된다 (
/product/{productId}
) - URL로 직접 접근 시 해당 상품의 상세 페이지가 자동으로 로드된다
상품 상세 - 새로고침시 유지
- 새로고침 후에도 URL의 상품 ID를 읽어서 해당 상품 상세 페이지가 유지된다
404 페이지
- 존재하지 않는 경로 접근 시 404 에러 페이지가 표시된다
- 홈으로 돌아가기 버튼이 제공된다
AI로 한 번 더 구현하기
- 기존에 구현한 기능을 AI로 다시 구현한다.
- 이 과정에서 직접 가공하는 것은 최대한 지양한다.
과제 셀프회고
렌더링 / 라우터를 어떻게 짜야할까 고민하다가 갈아엎는 과정을 반복했습니다. 처음부터 설계를 좀 완벽하게 해보고 싶어서 그 시간을 많이 썼는데 결국, 설계도 실패하고 요구사항을 하나도 지키지 못하게 돼서 매우 아쉽습니다. 데드라인을 지키는 일도 매우 중요하니 할 수 있는 선에서 과제를 마무리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봐야 할 것 같습니다. 다음 과제부터는 과제 통과하는데 좀 더 집중해보려고 합니다.ㅠㅅㅠ 매우 아쉽네요
기술적 성장
클로져/옵저버/pub-sub패턴 등 오랜만에 복습하면서 더 제대로 학습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. DOM 조작에 좀 더 능숙해진 것 같습니다.
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코드
React처럼 DOM 엘리먼트를 손쉽게 조작하고 싶었는데, 하지만 기존 코드 구조에서는 특정 컴포넌트의 자식 컴포넌트를 삽입하거나 교체하기 어렵게 구현되어 있습니다.
구조를 더 유연하게 리팩토링하고 싶습니다.
학습 효과 분석
선언적 프로그래밍의 위대함을 깨달았습니다. 그리고 성급한 추상화를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
과제 피드백
리뷰 받고 싶은 내용
https://github.com/bebusl/front_6th_chapter1-1/blob/main/src/utils/createViewcomponent.js
현재 React처럼 컴포넌트 단위로 view를 관리하고자 하는 의도로 renderViewComponent
라는 유틸을 만들었습니다. 하지만 몇 가지 불확실한 부분이나 개선 가능성이 있어서 아래 내용을 중심으로 리뷰를 받고 싶습니다:
-
컴포넌트 구조 변경/업데이트 흐름이 적절한지
updateComponent
호출 후render()
를 호출해야 하는 구조인데, 이게 직관적인지 확신이 없습니다.- 혹은 내부에서 자동으로 재렌더링까지 유도하는 게 좋을지 고민입니다.
-
currentView 관리 방식이 괜찮은지
let currentView
로 DOM 요소를 참조하고replaceChild
하는 방식이 명확하고 안전한지,- 더 좋은 방식이나 패턴이 있을지 궁금합니다.